PF 부실화로 저축은행업계 ‘직격탄’…연체율 급등‧절반 넘게 순손실
금감원, 1분기 연체율 통계 고려
4월 연체채권 관리 등 현장점검
송현섭
21cshs@naver.com | 2024-03-31 10:52:41
[메가경제=송현섭 기자]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의 여파로 지난해 전체 저축은행들 가운데 절반 넘게 순손실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일부 저축은행들 중 순손실이 1000억원을 넘어선 곳이 나오는가 하면 연체율 20%를 넘거나 심지어 PF대출 연체율만 30%를 훌쩍 뛰어넘은 곳까지 속출하고 있다.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의 여파로 지난해 전체 저축은행들 가운데 절반 넘게 순손실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 석판 자료 이미지 [사진=연합뉴스]
금융당국은 오는 4월 발표될 올해 1분기 저축은행업계 연체율을 고려해 연체채권 관리를 포함한 현장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작년 79개 저축은행의 결산 경영공시에 따르면 51.8%에 달하는 총 41개사가 순손실을 기록했다.
개별 저축은행 중 가장 큰 순손실 규모는 1072억원이었고 6곳이 500억원이상, 17개사가 100억원이상 순손실을 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저축은행 79개사는 지난해 총 5559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는데 2011년 대규모 영업정지 사태로 2013‧2014년 5089억원 적자를 낸 뒤 9년 만에 처음으로 최악의 경영수지를 나타냈다.
주요 금융그룹 계열사인 저축은행들이 다른 계열사 순이익을 토대로 부동산 PF를 포함한 손실 가능성에 대비한 충당금을 많이 쌓으면서 대거 순손실로 이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이들 금융그룹 계열 저축은행들의 순손실은 모두 2717억원으로 전체의 53.3%에 이르고 있다.
저축은행업계 건전성지표도 악화돼 한 저축은행은 연체율이 23.36%로 최악의 상황이던 2011년말 업계 평균 20.3% 수준을 넘겼다. 또 14곳은 연체율 10%를 넘었으며 최악의 경우는 고정이하 NPL(부실여신) 비율이 무려 24.23%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