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스마트+빌딩’ 활성화 착수
원희룡 장관,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 출범식 주재
민간기업·전문가 등 상반기까지 활성화 로드맵 마련
문기환 기자
mjwriter@daum.net | 2023-02-03 10:47:17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국토교통부는 국민들이 4차 산업혁명 서비스를 체감할 수 있도록 일상공간인 건축물을 첨단기술 플랫폼으로 조성하기 위해 민·관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가 지난 2일 출범했다고 밝혔다.
이날 LG사이언스파크에서 진행한 출법식에는 LG사이언스파크, LG공간연구소, 네이버클라우드,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이지스자산운용, 코가로보틱스, 현대자동차, 현대엘리베이터, 서울특별시 부시장, 서대문구 구청장, KBS, 건축공간연구원,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한국로봇산업진흥원, LH 등 공공기관 및 기업이 참석했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이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 출범식을 주재하고 있다. 스마트+빌딩은 일상생활의 수요 및 기술/서비스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유연성과 포용성을 갖춘 건축물로 도심항공교통(이하 UAM), 로봇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공간, 구조, 설비 등을 갖춘 건축물을 말한다. 첨단기술을 담아내는 플랫폼인 스마트+빌딩이 성공적으로 확산되면, 건물 안과 밖에서 각종 서비스가 끊어짐 없이 제공되는 라스트인치 서비스(Last-Inch Service)를 통해 국민일상의 편의가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라스트마일서비스는 ‘환승·물류센터⇔건물앞도로’ 의 모빌리티·배송서비스를 의미하며, 라스트인치(Last-inch)는 외부로부터 건물안 모든 공간에 연계되는 seamless서비스를 말한다.
또 UAM을 활용해 경찰·소방관 등이 재난 현장에 교통정체 없이 빠르게 이동하거나 방송국에서 각종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신속한 재난 방송을 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빌딩을 공공건축물에 우선 적용할 경우, 국가 재난 대응력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로봇, UAM(`25년), 자율주행(`27년)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조기 상용화를 위해서는 건축환경을 사전에 충분히 준비함으로써, 공간·플랫폼 환경 리모델링 등 불필요한 비용발생을 최소화해야 한다.
특히, 민간 기업, 전문가 및 청년 중심으로 얼라이언스를 구성하여 민간이 선도모델(스타프로젝트)을 제시·이행하면 정부는 제도개선, 정부 투자 등을 통해 적극 지원하는 형태로 운영할 계획이다.
|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