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사람 뇌와 유사” 세계 최초 ‘인-메모리 컴퓨팅’ 구현
차세대 저전력 AI 칩 기술로 주목
김형규
hgkim@megaeconomy.co.kr | 2022-01-13 10:06:14
삼성전자 연구진이 자기저항메모리(MRAM)를 기반으로 한 ‘인-메모리’ 컴퓨팅을 세계 최초로 구현하고, 연구 결과를 지난 12일(현지시간) 영국의 유명 학술지 '네이처'에 게재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정승철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이 제1 저자로, 함돈희 종합기술원 펠로우 겸 하버드대학교 교수와 김상준 종합기술원 마스터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반도체연구소, 파운드리 사업부 연구원들도 공동으로 연구에 참여했다.
기존 컴퓨터는 데이터의 저장을 담당하는 메모리 칩과 데이터의 연산을 책임지는 프로세서 칩을 따로 나누어 구성한다.
반면 인-메모리 컴퓨팅은 메모리 내에서 데이터의 저장과 연산을 모두 수행하는 최첨단 칩 기술이다. 메모리 내 대량의 정보를 이동 없이 병렬 연산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현저히 낮다. 차세대 저전력 인공지능(AI) 칩을 만드는 유력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저항메모리(RRAM)와 상변화메모리(P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를 활용한 인-메모리 컴퓨팅 구현은 지난 수년간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높은 연구 주제였다.
하지만 또 다른 비휘발성 메모리 MRAM은 높은 데이터 안정성과 빠른 속도에도 불구하고 낮은 저항값을 갖는 특성으로 인해 인-메모리 컴퓨팅에 적용해도 전력 이점이 크지 않아 구현되지 못했었다.
삼성전자 연구진은 이 같은 MRAM의 한계를 기존의 '전류 합산' 방식이 아닌 새로운 개념의 '저항 합산' 방식의 인-메모리 컴퓨팅 구조로 제안해 저전력 설계에 성공했다.
연구진은 MRAM 기반 인-메모리 컴퓨팅 칩의 성능을 인공지능 계산에 응용해 숫자 분류에서는 최대 98%, 얼굴 검출에서는 93%의 정확도로 동작하는 것을 검증했다.
이번 연구는 시스템 반도체 공정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MRAM을 세계 최초 인-메모리 컴퓨팅으로 구현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차세대 저전력 AI 칩 기술의 지평을 확장했다는 평가다.
연구진은 새 구조의 MRAM 칩을 인-메모리 컴퓨팅으로 활용하고 생물학적 신경망을 다운로드하는 뉴로모픽 플랫폼으로의 활용 가능성도 함께 제안했다.
정승철 전문연구원은 "인-메모리 컴퓨팅은 메모리와 연산이 접목된 기술로 기억과 계산이 혼재되어 있는 사람의 뇌와 유사한 점이 있다"며 "이번 연구가 향후 실제 뇌를 모방하는 뉴로모픽 기술의 연구 및 개발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