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홈플러스 회생, 제2의 MBK 사태 우려… 법원, 졸속 인가 중단해야”

더불어민주당 “홈플러스 회생, 제2의 MBK 사태 우려… 법원, 졸속 인가 중단해야”
“MBK, 책임 회피 말고 사회적 책무 다해야”

주영래 기자

leon77j@naver.com | 2025-11-05 09:38:04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홈플러스의 법정관리(회생절차) 과정에서 제출된 두 건의 인수의향서(LOI)를 두고, 더불어민주당이 “기업 회생이 아닌 제2의 MBK 사태가 되풀이될 우려가 있다”며 강하게 우려를 표했다.


민주당은 서울회생법원에 “인가 전 M&A 인수자 공개모집기간을 연장하고, 투기자본 중심의 졸속 매각 절차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 홈플러스 회생절차를 두고 더불어민주당이 강하게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이 홈플러스 회생절차를 둘러싼 매각 논의와 관련해 투기자본 중심의 인수 움직임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민주당은 “현재 진행 중인 인수의향서는 기업 회생이 아닌 투기성 매각에 가깝다”며 ‘제2의 MBK 사태’ 재발 가능성을 경고했다.

첫 번째 인수 희망 기업은 유통업 경험이 전무한 부동산 전문회사로, 산업적 시너지나 점포 운영능력이 없으며, 부동산 가치 상승과 매각 차익만을 노린다는 설명이다. 이는 2015년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를 인수한 뒤 부동산 매각과 고배당으로 수익을 회수했던 구조와 유사하다는 지적이다.

두 번째 인수 주체는 차입을 통한 LBO(Leveraged Buyout) 구조로, 인수 자금 대부분을 외부 차입에 의존해 기업에 상환 부담을 전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이 경우 홈플러스의 재무구조는 악화되고, 회생 이후 또 다른 불안이 반복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민주당은 “회생의 목적은 투기자본의 출구전략이 아닌 기업의 지속 가능한 정상화에 있다”며 “법원은 인가 전 M&A 절차를 연기하고, 매각 희망자의 경영역량과 재무여력을 면밀히 검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시간이 다소 걸리더라도 유통산업의 전문성과 자본력을 갖춘 인수자가 등장할 수 있도록 공개모집 기간을 연장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특히 노조와 입점업체, 협력사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 청취 절차를 공식화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향후 공개입찰에서도 마땅한 인수자가 없을 경우, 공적 구조조정 전문기관의 참여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연합자산관리회사(유암코)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이 부실채권 정리 및 채권조정을 주도하고, 자금력과 경영능력을 갖춘 유통기업이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정부 역시 10만 협력업체와 수만 명의 고용이 걸린 민생현안을 방관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홈플러스 회생의 전제조건으로 △2만 명 노동자의 고용승계 △10만 협력업체 및 입점 중소상공인의 영업승계 △전단채 피해자에 대한 실질적 구제를 제시했다.

민주당은 “이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회생은 법적 절차일 뿐, 사회적 공감대를 얻기 어렵다”며 사회적 책임 있는 회생 모델을 주문했다.

‘MBK는 책임 회피 말고 사회적 책무 다해야한다’고 날을 세웠다. 민주당은 “홈플러스가 전기 단전과 납품 중단, 임금 체불 우려까지 겹쳐 존립 자체가 위태롭다”며 “MBK파트너스는 지난 10년간 부동산 매각과 고배당을 통해 이익을 챙기고, 위기 국면에서는 회생절차 뒤로 숨고 있다”고 직격했다.

이어 “홈플러스가 투기자본의 실험장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법원은 이번 사안을 단순한 기업회생이 아닌 국민경제적 위기로 인식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민주당은 “진정한 회생과 제2의 MBK 사태 방지를 위해 끝까지 감시와 대응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