쯔쯔가무시증 환자 한 주 새 3배 급증…"가을철 야외활동 시 진드기 물림 주의‧적시 치료해야"

쯔쯔가무시증 환자 약 70% 10~11월에 집중 발사
야외활동 후 1~3주 이내 발열‧발진에 검은딱지 생겨
감염 초기에 적절한 항생제 치료받으면 완치 가능
“진드기 물림 주의‧예방수칙 준수‧적시 치료” 중요

류수근 기자

press@megaeconomy.co.kr | 2022-10-24 08:41:24

가을이 깊어지는 가운데 야외활동 시 진드기 물림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질병관리청은 본격적인 단풍철이 다가옴에 따라 야외활동 시 쯔쯔가무시증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21일 당부했다.
 

▲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연도별, 월별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 현황. [질병관리청 제공]
쯔쯔가무시증은 진드기 매개 감염병 중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제3급 법정감염병으로, 털진드기 유충에 물리면 1~3주의 잠복기 이내 고열, 오한, 근육통, 발진 등의 증상과 함께 물린 부위에 가피(검은딱지)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쯔쯔가무시증은 매개 털진드기의 유충이 왕성히 활동하는 시기인 9월부터 11월까지 개체 수가 증가하고, 환자도 10월과 11월에 약 70% 이상이 집중 발생한다.

질병관리청은 “올해는 쯔쯔가무시증 환자가 42주차(10.9~10.15)에 전 주 대비 172% 증가하기 시작해 11월까지 환자가 집중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쯔쯔가무시증 환자는 올해 41주차에 43명이었으나 42주차엔 117명으로 3배 가까이 급증했다.

▲ 쯔쯔가무시증 예방수칙. [질병관리청 제공]
쯔쯔가무시증은 감염 초기에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받으면 완치가 가능해 무엇보다 신속한 진단과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고 질병관리청은 강조한다.

그런 만큼 야외활동 후 1~3주 이내 발열, 발진, 오한 등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을 방문해 의료진에게 진드기 물림이나 야외활동력을 알리고, 필요 시 적시에 치료받아야 한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가을철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쯔쯔가무시증의 관리를 위해 환자 발생 감시, 역학조사 및 매개체 감시를 수행하고 있다”며, “쯔쯔가무시증에 감염되지 않기 위해서는 진드기 물림 주의 및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아울러 “코로나19 및 감기 초기증상과 증상이 유사하므로, 아프면 빨리 의료기관을 방문해 적기에 진료받을 수 있도록 국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