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기 여성 겨냥하는 ‘자궁내막암’…지속적 자궁 출혈 시 정밀검진 필요
주영래 기자
leon77j@naver.com | 2025-07-21 08:05:26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폐경 후 반복적이거나 원인 불명의 질 출혈이 나타난다면 자궁내막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자궁내막암은 자궁 안쪽을 덮고 있는 점막층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최근 국내 발병률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폐경 전후 여성에게 주로 발병하지만, 비만과 호르몬 불균형 등의 요인으로 40대 이하 환자 비중도 확대되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자궁내막암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2020년 2만3,078명에서 2024년 3만392명으로 4년 새 약 31.7% 증가했다. 같은 기간 20~30대 젊은 환자도 2,466명에서 3,286명으로 33.3% 늘었다.
송희경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주요 위험 요인은 단독 에스트로겐 과다 노출로, 호르몬 균형이 무너지면 자궁내막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해 암으로 진행될 수 있다”며 “비만, 무배란 월경, 고령 출산 등도 발병 위험을 높인다”고 설명했다.
대표적 초기 증상은 비정상 질 출혈이다. 폐경 이후 출혈, 생리 주기와 무관한 출혈, 성관계 후 출혈 등이 나타나면 조기 검진이 필요하다. 하복부 통증, 질 분비물 증가, 원인 불명 체중 감소가 동반될 수도 있다. 송 교수는 “폐경 후 출혈을 일시적 현상으로 오인해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며 “출혈이 적더라도 반복되거나 지속되면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단은 질 초음파로 자궁내막 두께를 확인하고, 이상이 있으면 자궁내막 조직검사로 확정한다. 이후 MRI나 CT로 병기와 전이 여부를 평가한다. 치료는 자궁과 양측 난소, 난관을 제거하는 전자궁적출술이 기본이며, 초기 병기는 수술만으로 완치 가능하다. 진행성 환자는 방사선 치료와 항암요법을 병행한다.
최근에는 로봇수술이 활발하다. 고화질 3D 영상과 정밀 조작으로 암 조직 제거 정확도를 높이고, 절개 범위를 최소화해 출혈과 통증을 줄인다. 회복 속도가 빨라 환자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
예방을 위해서는 에스트로겐 과다 노출을 줄이는 것이 핵심이다. 체중 관리와 균형 잡힌 식습관, 규칙적인 운동이 도움이 된다. 송 교수는 “자궁내막암은 국가검진 항목이 아니어서 늦게 발견되는 사례가 많다”며 “하지만 조기 진단 시 5년 생존율이 약 90%로 예후가 좋은 만큼 정기 검진과 생활습관 관리가 필수”라고 조언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