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 '방긋', 올여름 저전력 반도체가 뜬다!
AI 데이터센터 전력난 심화, 저전력 반도체 수요 급증
이동훈
ldh@megaeconomy.co.kr | 2024-04-22 07:23:11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전 세계적으로 AI 데이터센터 구축이 본격화되면서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저전력 반도체가 구세주로 떠오르고 있다.
22일 KB증권에 따르면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6년 전 세계 데이터센터 전력 사용량이 2022년 대비 2배 증가할 전망이라고 발표했다. 2030년에는 2022년 대비 5배 폭증하면서 AI데이터센터 전력 사용량이 인도 전체 전력 사용량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심지어 미국에서는 이미 전력 고갈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미국 언론들은 조지아주의 산업용 전력의 수요가 사상 최고치로 예상된 가운데 향후 10년간 신규 전력 사용량이 현재 대비 17배 증가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이는 전 세계 주요 국가의 탄소 중립 목표 달성과 상충하는 상황이며,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고 역설했다.
전문가들은 데이터센터 전력난 해결의 핵심은 저전력 반도체라고 입을 모은다. 저전력 반도체는 기존 반도체 대비 에너지 소비를 대폭 줄여 데이터센터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AI 데이터센터는 일반 데이터센터 대비 훨씬 많은 전력을 소비하기 때문에 저전력 반도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저전력 반도체 기술 경쟁 선두
이러한 시장 상황을 반영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저전력 반도체 기술 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최근 업계 최고 동작속도를 지원하는 저전력 D램 개발에 성공하며 세계를 놀라게했다.
삼성전자이 개발한 동작속도 10.7Gbps(1초당 전송되는 기가비트 단위의 데이터)를 구현한 저전력 더블데이터 레이트5X(LPDDR5X) D램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및 모바일 업체와 검증을 마치는 대로 하반기 양산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또, 소비전력을 약 25% 줄여줘 저전력 반도체 수요가 급증한 온디바이스 AI 시대에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된다.
SK하이닉스 역시 지난해 10월 9.6Gbps 동작속도를 구현한 모바일용 D램 ‘LPDDR5T’의 상용화에 나섰다. 미국 퀄컴 테크놀로지(퀄컴)의 스냅드래곤8 3세대 모바일 플랫폼에 적용할 수 있다는 인증을 당시 업계 최초로 받았다고 밝혔다.
저전력 반도체 수요 증가는 데이터센터 인프라 관련 기업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HD현대일렉트릭, LS, 대한전선 등은 데이터센터 변압기, 전선, 구리 등을 생산하는 기업으로서 저전력 반도체 보급 확대에 따라 수요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저전력 반도체 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높지만, 기술 경쟁 심화, 시장 변동성 등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위험 요소도 존재한다.
전문가들은 “투자 시 신중하게 판단하고, 관련 기업들의 기술력, 재무 상태, 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